HWP문서[ETRI_보도자료]_ETRI, 미래 특허기술료로 1백억받아_140306.hwp

닫기

배포일자 : 2014.3.6.(목)

배포번호 : 2014-14호

사업화본부

사업화본부장

현창희 (042-860-6700)

E-mail : chhyun@etri.re.kr

사업화본부

지식재산경영부장

김우현(042-860-6720)

E-mail : kimwh@etri.re.kr

지식재산경영부

지식재산활용팀장

최민서(042-860-6462)

E-mail : choims@etri.re.kr

홍보부

홍보팀장

정길호(042-860-0670)

E-mail :

홍보부

홍보팀

정병인(042-860-6634)

E-mail : byengin@etri.re.kr

매수 : 보도자료 3매 (참고자료 4매, 사진 5매)

배포처 : ETRI 홍보팀

<국내최초 투자형 IP금융의 물꼬를 트다>

ETRI, 미래 특허기술료로 1백억받아

- IP(지식재산)로 금융도입, 향후 1천억 기술료 기대

- 특허가치만으로 금융을 일으킨 창조경제 사례

- 핵심특허 대상 투자, 기술무역수지 적자해소 앞장

지난 2000년, 미국의 예일대학은 에이즈 치료제인 제리트(Zerit)의 특허로열티로 1억불이라는 대박을 냈다. 이는 IP(지식재산) 금융의 대표적 사례로 꼽히는데 특허를 기초자산으로 증권화한 것이 특징이다. 담보물권이나 눈에 보이는 자산이 아닌 무형 자산에 대한 투자를 이끌어 낸 것이다.

국내 정부출연연구원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향후 발생될 특허기술료를 기초로 1백억원의 투자를 받아 화제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6일, 미래의 특허료 수입을 근거로 로열티 유동화 계약을 아이디어브릿지자산운용(주)와 체결, 한국산업은행(KDB)으로부터 1백억원을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로열티 유동화란 장래에 발생할 로열티 수입을 현재 시점에서 미리 현금화하는 행위로 전 세계적으로도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드문 사례다.

이번 계약은 국내 정부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에 대한 가치에 근거해 투자가 이루어진 국내 최초의 IP 금융 사례라는 점이 특징이다. 아울러 지난해 7월, 관계부처합동으로 발표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지식재산금융 활성화 방안의 기본 방향을 구체화해 실현한 첫 사례이기도 하다.

ETRI는 투자금액을 향후 국제표준특허와 같은 핵심특허의 권리 확보 비용, 즉 해외특허 출원비용, 특허풀 가입, 특허침해 대응 등에 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5년간 추가적으로 1천억원의 특허기술료를 벌어드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ETRI의 최근 5년간 평균 특허기술료는 대략 110억원 정도 된다.

ETRI는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알짜배기 특허인 국제표준특허’ 376등에 대한 가치를 높이기 위해 투자할 것이며, 대표적인 기술로는 ETRI가 자체기술로 세계 최초로 개발한 LTE, 와이파이(WiFi), HEVC(고효율 비디오 코딩) 기술 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ETRI는 지금 시점이 전략적 투자의 적기로 판단, IP금융을 활용, 생태계를 새롭게 쓴다는 각오다. ETRI의 최초 IP금융사례가 결국 중소기업이나 벤처에도 적용, 활성화 될 수 있는 단초 마련은 물론 창조경제의 표준모델로 삼겠다는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정부출연 연구원이 보유한 지식재산의 활용 가치를 인정받고 선진 IP 금융 방식 도입의 물꼬를 튼 모범사례로서 전 출연연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ETRI 김흥남 원장도 ETRI 특허 로열티 유동화 계약 사례가 국내 중소기업에까지 널리 확대되어 IP 금융 생태계 조성을 통한 창조경제 실현이 가속화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투자를 한 KDB 투자금융부문 송문선 부행장은 이번 지식재산권(IP) 로열티 유동화는 현재 당행이 시행하고 있는 IP 담보대출, Sales & License Back에 이은 새로운 금융기법으로 지식재산권 로열티에 기반한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우수 연구기관의 R&D 역량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는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ETRI는 본 안건을 지난달 24일, 산업기술연구회 이사회에 상정, 최종 승인되었다고 밝혔다. ETRI는 특허기술료 수입이 들어오는 향후 5년간 투자금액을 기술료 수입으로 배분할 예정이다.

ETRI는 지난 해 전 세계 연구소·대학·정부기관 등 237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국특허종합평가에서 2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MIT, 캘리포니아대, 스탠포드대, ITRI, 프라운호퍼 연구소, NASA 등 세계 유수 연구기관보다 높은 평가를 받아, 국내 출연연의 우수한 특허역량을 전 세계에 과시하였다. <보도자료 본문 끝>

붙임

해외 지식재산 로열티 유동화 사례

(단위: 백만 달러, 백만 엔)

구분

년도

발행자

규모

상표권

1988

Walt Disney

$ 725

1993

Calvin Klein

$ 58

2003

Guess - Royalty Finance LLC

$ 75

2006

Iconix Brand Group

$ 218

2006

Sears

$ 1,800

프랜차이즈

2000

Arby's

$ 290

2005

Quiznos

$ 250

2006

Dunkin Donuts

$ 1,700

제약 특허권

2000

Bio Pharma Royalty Trust

$ 115

2003

Royalty Pharma Finance Trust

$ 225

2004

Royalty Securitisation Trust I

$ 228

2009

Vertex, Johnson & Johnson

$ 250

저작권

1999

Cecchi Gori (007 James Bond)

$ 280

2000

Konami

¥ 770

2003

Dreamworks

$ 1,000

2003

Universial Film Funding

$ 950

2003

Disney

$ 370

ㅇ 예일대학 제약특허 로열티 유동화를 통해 자금조달

구조

- 예일대학의 AIDS 치료제 Zerit의 특허로열티를 기초자산으로 증권화

- 예일대학교는 Pharmaceutical Royalties LLC를 설립하여 특허업무를 전담

- 증권화를 위해 특수목적회사 Biopharma Royalty Trust (SPV)를 설립

- S&P는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여, SPV 보유 기술에 대해 A등급 수령

- SPV는 제약회사인 Bristol-Myers Squibb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여 로열티를 수령

- 로열티 수입 중 30%는 예일대 내부 발명자에게 지급한 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방식(115백만 달러의 자금 조달)

- 예일 대학은 이 중 100만 달러를 사업자금으로 확보하여 의학관 건설

추 진 개 요

1. 추진 배경

창조경제의 핵심성장 요소인 창의적 아이디어와 지식재산의 개발 및 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IP 금융 활용 요구 증가

IP 금융에 새로운 금융기법을 도입함으로써 IP금융 활성화 촉진

ETRI 로열티 수입 극대화를 위해 핵심특허에 대한 전략적 투자 필요

- 국내특허 1위, 미국 특허평가 2년 연속 세계 1위 등의 실적에도 불구고, 특허 기술료 수입 규모는 아직 미흡

- 약 1%의 특허가 로열티 수입의 90%를 창출함에 따라, 핵심특허의 창출가공활용 과정의 중요성이 증대

- 핵심특허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특허 기술료 수입 극대화를 위한 모멘텀 제공

2. 추진 내용

유동화 투자 재산 : ETRI 특허 로열티 채권

유동화 규모(투자금) : 100억원 (일시납)

유동화 펀드 운용사(투자기관) : Idea Bridge(KDB)

계약기간 : 5년

투자자 수익 배분 : 계약기간 중, ETRI 특허 기술료 수입의 일정 부분을 배분

3. 기대 효과

연구원 지식재산 고유 가치에 기초한 국내 최초의 IP 금융 사례 창출

향후 5년간 최소 1,000억원 이상의 특허 기술료 수입 추가 확보

설명 참고자료

* 로열티 유동화 : 장래에 발생할 로열티 수입을 현재 시점에서 미리 현금화하는 행위

* Idea Bridge : 산업자원부 출자 창의자본 주식회사인 Intellectual Discovery의 자회사

* KDBIdea BridgePioneer IP 펀드를 통해 ETRI에 100억원을 투자함

* IP 금융 : 특허/상표/디자인 등 IP(지식재산권)에 기초하여 금융기능을 제공하는 제반 활동

* Sales & License Back : 특정 기관이 IP를 투자자에게 매각해 자금을 확보한 후, 투자자에게 IP 사용료를 지급하는 IP 금융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