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보도자료]ETRI, 스마트 하이웨이 실현 위한 ‘차량간 통신 기술’ 개발.hwp
Embargo : 없음
문의처 |
융합기술연구부문 자동차네트워킹연구팀장 오현서(042-860-5659) E-mail : hsoh5@etri.re.kr 홍보실 홍보팀장 김희철(042-860-0670) E-mail : k21human@etri.re.kr 홍보실 홍보팀 박상규(042-860-4964) E-mail : psg@etri.re.kr |
||
배포번호 : 2011 - 26호 배포일자 : 2011. 5. 2(월) |
매수 : 보도자료 4매 (참고자료 7매 별도) |
배포처 : ETRI 홍보팀 |
‘IT+자동차’ 융합기술 결실
ETRI, 스마트 하이웨이 실현 위한
‘차량간 통신 기술’ 개발
- ‘멀티홉 방식 차량간 통신 기술’(VMC) 개발·시연 성공
- “이동 차량간 무선통신 통해 교통 정체·교통 사고 정보 미리 안다”
- “스마트 하이웨이 구축·첨단 교통 시스템 활용 통해 교통 선진국 이룩한다”
- 시장 요구사항·국제 표준 반영 통해 조기 상용화 기대
우리나라가 도로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각종 교통 정보, 위험 경보 신호 등을 실시간 무선 전달하여 각종 교통사고를 줄이고, 차량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목적지에 보다 빨리 도달하게 하는 ‘스마트 하이웨이(Smart Highway)’ 실현을 목전에 두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의 핵심기술인 ‘멀티홉 방식의 차량간 통신 기술’(이하 VMC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은 지식경제부의 IT융합 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지난 4년간 총 136억원을 지원받아 이루어진 것으로, 관련 핵심 특허 확보와 상용 수준의 통신칩 개발도 완료됐다.
이번에 개발한 VMC 기술은 차량간 실시간 무선통신을 통해 앞 차의 사고 등 돌발 상황을 뒤따라오는 차에 직접 전달하여 연쇄 추돌을 미연에 방지하고, 내비게이션과 연동 시 교통 정체 없는 빠른 길 안내, 차량 고장 원격 점검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신개념 텔레매틱스 기술이다.
이동통신, 무선랜, 하이패스 등의 현재 차량에서 이용가능한 무선통신 기술은 모두 도로변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데 비해, VMC 기술은 차량간 직접 통신이 가능해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응답시간이 100msec 이내로 짧기 때문에 차량 안전과 첨단 교통시스템 구축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또 무선랜 방식에 비해 최대 200km/h의 고속 이동 중에도 교신이 가능하며, 국내 하이패스에 사용하고 있는 DSRC 기술에 비해 10배의 전송능력과 통신가능거리도 1km까지 확장되어 차세대 하이패스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참고자료 2> 참조
ETRI는 이번에 개발한 VMC 기술을 한국도로공사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과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등 공공 교통시스템에 우선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량 내 대표적 무선통신 단말기인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태블릿PC 제조업체와 연계하여 해당 제품에 VMC 기술을 탑재시킬 예정이다. 이럴 경우 차량 운전자는 고속 이동 중에도 차 안에서 전방도로의 CCTV 영상정보, 인터넷 등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ETRI는 이번 기술의 기능과 성능에 대한 실내·외 시험 및 시연을 이미 마쳐 조기 상용화를 자신하고 있다. 2009년에는 국토해양부 시행 스마트 하이웨이 서비스의 통신기술 적합성 시험에 통과하여 기존 무선랜 방식에 비해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한 결과 스마트 하이웨이 통신 방식으로 공식 채택됐다. 또 지난해 10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17회 부산 ITS 세계대회’에서는 세계 각국의 ITS 전문가 및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부산-울산 고속도로 상에서 성공적으로 공개 시연함으로써 기술 우수성을 입증했다.
개발 기술에는 상용 수준에 가까운 통신칩도 포함되어 있어 의미가 크다. ‘E-WAVE 통신칩'으로 불리는 이 칩은 개발 초기부터 자동차 생산업체, ITS 수요기관 등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WAVE 국제 표준 규격을 수용함으로써 산업 활용성을 높였다. 또 0.18 마이크로미터(μm) CMOS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칩을 13mmx13mm 크기로 초소형화하고 생산단가를 낮추는데 성공했다.<참고자료 3> 참조
오현서 ETRI 자동차네트워킹연구팀장은 “이번 VMC 기술 개발은 우리나라가 현재 추진 중인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 및 첨단 교통시스템 실현에 촉매제가 될 것”이라면서 “머지않아 우리나라의 교통 정체와 교통 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 교통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ETRI는 VMC 기술의 지속적인 성능 향상과 ▲ 차량과 다양한 통신 인프라와의 네트워킹 기술 ▲ 차량 통신 인증 및 보안 기술 ▲ 정확한 위치 인식을 위한 위치 보정 기술 ▲ WAVE/UTIS 통신 통합 기술 ▲ 무선 통합 안테나 기술 등의 후속기술 개발을 통해 조기 상용화를 실현시킨다는 계획이다. 다만 조기 상용화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미국과 유럽에서 WAVE 주파수로 할당 중인 5.85~5.925GHz 대역을 국내에서는 방송중계용으로 사용하고 있어 주파수 재배치를 통한 WAVE 주파수 할당 등 방송통신위원회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참고자료 4> 참조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자료 1>
VMC 기술 우수성 |
|
ETRI가 개발한 VMC 기술은 기존 WAVE 기술의 단점인 ▲ 고속 이동 환경에서의 페이딩 채널로 인한 성능 저하 ▲ 다수 사용자 환경에서의 패킷 전달 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보완하여 기술 경쟁력이 뛰어나다.
보완된 핵심 기술은 ▲ 고속이동환경에서 채널 추정기술 ▲ 타임 슬롯 기반 MAC 기술 ▲ 노변 기지국간 Seamless 핸드오버 등 3가지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원 가능하며 세계 표준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VMC 기술의 타 산업으로의 활용성 |
|
WAVE 기술은 고속의 이동성, 패킷 전달의 실시간성, 그리고 특수 목적(Ad-hoc)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프라를 구성하지 않고 이동하면서 그룹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 철도간 통신 ▲ 로봇간 그룹 통신 ▲ 배간 통신 ▲ 비행기간 통신에 활용이 가능하고,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경찰 그룹, 소방 그룹, 소규모 전투 그룹 및 재난 통신 등에 매우 효과적이다. 다만 이의 경우 해당 분야에 대한 신규 서비스 모델 발굴과 표준화 추진이 필요하다.
<참고자료 2>
WAVE 기술 성능 비교 |
|
□ 무선통신 기술간 주요 성능 비교
□ DSRC 대비 WAVE 기술 성능 비교
구분 |
DSRC |
WAVE |
주파수 |
5.795~5.815GHz |
5.855~5.925GHz |
출력 |
최대 100mW |
500mW(최대 33dBm) |
통달거리 |
최대 100m |
최대 1Km |
대역폭 |
10MHz |
10MHz |
데이터 속도 |
1Mbps |
3, 4.5, 6, 9, 12, 18, 24, 27Mbps |
통신 방식 |
V2I 지원 |
V2V, V2I 지원 |
접속 속도 |
100 msec 내외 |
100 msec 이내(Latency) |
서비스 |
단말 및 기지국간 통신 (하이패스에 주로 활용) |
차량간 통신 인터넷 서비스 동영상 전송 |
※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 근거리 전용 통신
<참고자료 3>
VMC 기술 관련 사진 |
|
□ VMC 기술 개념도
□ VMC 기술 실외 시연 사진(ETRI 내)
□ 차량 단말 화면 예시(교차로 안전 지원 서비스)
□ 차량을 이용한 실외 시연 장면(ETRI 내)
□ 차량 단말용 통신 모듈 사진
□ E-WAVE 통신칩 사진
<참고자료 4>
각 국가별 ITS 주파수 현황 |
|
구분 |
주파수 대역 |
서비스 |
ITU-R |
ISM Band : 5.725~5.875GHz(150MHz) |
ITS |
유럽 |
5.855~5.925GHz(70MHz) |
차량 안전, ITS |
미국 |
5.85~5.925GHz(75MHz) |
차량 안전, ITS |
일본 |
• 5.770~5.850GHz(80MHz) • 700MHz 대역 검토 중 |
차량 안전,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우리나라 예 :하이패스 |
※ 우리나라의 경우 WAVE 주파수 미할당
<참고자료 5>
VMC 기술 시장 전망 |
|
시장조사전문기관인 아이서플라이(iSupply)의 2009년도 자료에 따르면 VMC 기술은 매년 7~8% 성장을 통해 2014년 국내 시장은 1조 1,668억 원, 세계 시장은 43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또 ETRI 내부분석에 따르면, 이번에 ETRI가 개발한 VMC 기술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44%, 세계 시장 점유율은 9%에 달할 것으로 전망